결승점 도착 못한 '5G'…'6G'는 출발선 섰다
상태바
결승점 도착 못한 '5G'…'6G'는 출발선 섰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진=

[컨슈머타임스 하주원 기자] 한국이 세계 최초로 5G를 상용화한데 이어 6G 세계 시장 선점을 위한 R&D(연구·개발) 추진 전략을 발표하면서 업계 안팎에서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다. 

현재 5G 속도는 4G 롱텀에볼루션(LTE)보다 최대 20배까지 빨라진다고 예고한 것과 달리 겨우 4배 빨라진 656.56Mbps에 그쳐 5G 관련 투자가 요원한 상황이다. 

그럼에도 6G에 뛰어드는 이유는 '이동통신'이 가지는 특성과 코로나19로 변화된 '비대면화·디지털 전환' 때문이다. 데이터를 안정적이고 빠르게 공유할 이동통신 네트워크는 사회·산업 발전의 필수적인 기반이다. 

6G의 데이터 전송 기준 최고 속도는 5G보다 약 50배, 4G LTE보다 1000배 빠른 것으로 추산된다. 통상 사용자와 인터넷 서버가 데이터를 주고받는데 걸리는 지연 시간이 짧을수록 혁신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5G의 지연 시간 1000분의 1초로 4G 보다 짧아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자율주행차나 수술 로봇 원격조종이 가능해졌고 6G는 이를 더 정밀하게 구현함과 동시에 홀로그램 화상회의, 플라잉카, 유비쿼터스 기술의 일상화 등 미래 기술 실현을 앞당길 것으로 예상된다.  

6G가 상용화되는 시대에는 전 세계적으로 기기를 가리지 않고 최대 5000억개 이상의 네트워크가 서로 연결되는 '만물인터넷(IoE)'이 가능할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무선 지연 시간이 1만분의 1초인 6G 핵심은 최대 1테라비트(1Tbps)의 데이터를 전송한다는 것이다. 현재 국내는 220GHz까지 주파수 대역의 원천 측정기술, 기술 검증 인프라 등을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6G시장 선점을 위해 세계 주요국에서 2~3년 일찍 R&D에 들어간 것과 비교하면 빠르지 않다는 게 업계의 분석이다. 또 일각에서는 국내 일부 대기업에서 5G 상용화 이전부터 6G에 공을 들이는 것과 속도차가 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정부가 오는 2026년 상용화 전 Pre-6G 시범 서비스 시행을 목표로 2000억원을 투자한다. 최종 목표는 6G 핵심 표준특허 보유 및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세계 1위 등이다. 
  
이동통신 세대는 지난 2001년 3G(일본), 2009년 4G(유럽), 20019년 5G(한국)로 상용화 주기가 점점 빨라지고 있어 세계적으로 6G 시장 주도권 선점에 대한 경쟁이 치열하다. 

6G 상용화는 빨라도 오는 2028년이 될 것이라고 관측되는 가운데 사람‧사물 구분 없이 통신할 수 있는 '미래 초현실 시대'를 만들기 위한 글로벌 업계의 국제적 협력과 투자는 지속 늘고 있다. 

국내 5G 이용자들 사이에서는 '글로벌 시장에서 영향력도 중요하지만 국내에서 원활하게 서비스되는 게 먼저', '아직 5G도 제대로 안 되는 상황에서 6G 기술을 언급하는 건 이르다' 등의 우려가 있다. 

일부 전문가들도 비슷한 시각이다. 그러나 한 전문가는 "향후 6G 기술 기반으로 한 제품이 나왔을 때 국내 업체들이 관련 특허나 기술 확보하지 못할 경우 '로열티 발생', '차세대 제품 개발에 대한 차질', '소비자 피해' 등의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6G 관련 특허나 기술에 대한 선제적인 R&D을 통해 인프라 초석을 다져야 미래 시장에서도 5G와 같이 선도 기업으로 도약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업계 관계자는 "정부와 기업뿐 아니라 산·학·연 간 긴밀한 협력이 필요하다"며 "특히 6G 시장 주도권 확보를 위해서는 자금과 정부 정책, 제도, 운영방식 등 모든 것들을 새롭게 정립하고 긴밀하게 발맞춰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발빠른 대응과 집약적인 향후 10년의 통신 시장을 좌우하기 때문에 5G 최초 상용화에 안주하지 않고 6G를 위해 전력을 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