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클라우드 기반 디지털 혁신…포스트코로나 시대 '뉴딜'
상태바
KT, 클라우드 기반 디지털 혁신…포스트코로나 시대 '뉴딜'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진=KT 홈페이지 캡처
사진=KT 홈페이지 캡처

[컨슈머타임스 하주원 기자] KT가 포스트코로나에 대응하기 위해 디지털 혁신 가속화에 나섰다. 

KT는 지금까지 쌓아온 AI, 인공지능, 클라우드 역량과 경험을 바탕으로 사업 다각화에 사활을 걸었다. 최근 KT는 클라우드 매출로만 현재의 2배를 기록하겠다고 포부를 밝힌 바 있다. 

지난 2015년 공공기관 전용 클라우드 서비스 'G-클라우드'를 구축했으며 2017년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출시, 지난해 국내 최초 금융 클라우드 전용 존 구축 및 세계 최초 5G 기반 에지 클라우드를 선보였다. 이에 더해 전국 13곳의 인터넷 데이터 센터(IDC), 6개 클라우드 데이터 센터(CDC) 등을 기반으로 이미 7000여 기업·공공 고객을 확보하고 있어 비교적 안정적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매출 1000억원을 기록 중인 KT의 클라우드 역사는 지난 2011년 충남 천안에 클라우드 전용 데이터센터를 구축하고 기업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한 것부터다. 당시 미성숙한 국내 클라우드 시장과 글로벌 사업자에 밀려 침체기가 있는 듯했으나 포기하지 않고 국내 클라우드 시장에서의 점유율 확대에 집중해왔다.  

KT를 포함한 국내 사업자들은 아마존웹서비스(AWS), 마이크로소프트 애저 등 글로벌 사업자들이 80% 이상 차지하고 있는 국내 클라우드 시장에서 비교적 접근이 쉬운 공공·금융 분야에서 돌파구를 찾고 있다. 

지난해 5월 하나은행의 금융플랫폼 구축사업 수주에 성공하면서 국내 최초로 금융 클라우드 가이드라인 141개를 모두 통과한 것이 KT의 클라우드 분야 중 가장 큰 성과다. 

또 그간 퍼블릭 클라우드 사업을 해온 KT는 구축형 클라우드와 시장 성장잠재력이 높은 프라이빗 클라우드, 중소·중견 기업의 디지털 전환을 돕는 특화된 DX플랫폼으로 눈을 돌렸다.

DX(디지털 전환)의 경우 제조·의료 등에서 협약을 맺고 영역을 넓히고 있다. 오는 9월 AI, 데이터 분석, 블록체인, IoT 등 KT 서비스를 클라우드 기반 플랫폼화한 맞춤형 서비스를 선보일 예정이다.  

클라우드를 토대로 디지털 혁신에 본격 돌입한 KT는 전 산업군의 업무를 비롯해 교육·쇼핑 등에서도 비대면 시대가 열릴 것이라고 보고 있다. KT가 비대면 생활이 일상화되는 포스트코로나 시대에 대응하기 위해 클라우드를 선택한 이유다.   

정부가 내세운 '디지털 뉴딜'에도 발맞춰가고 있다. 지자체 데이터센터와 재정시스템 등에도 오는 2023년까지 약 7000억원 규모의 구축형 클라우드 사업을 추진한다.  

또한 유료방송 가입자 중 KT 가입자가 31.52%를 차지하는 KT가 현대HCN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면서 유료방송시장에서도 1위 자리를 굳히는 데에 기대감이 큰 상황이다. 

아울러 KT는 국내 전기차 제조사인 에디슨모터스와 손잡고 자율 주행 전기차 개발에 나섰다. 전기차의 운행 현황과 충전 상태를 실시간 확인하고 컨트롤할 수 있는 통합관제 원격제어 등 자율 주행 소프트웨어 기술을 개발·보급할 계획이다. 

업계 관계자는 "클라우드는 산업 전반에 끼치는 영향과 중요성이 날로 커질 것"이라며 "KT는 향후 정부가 내세운 디지털 뉴딜을 적극 지원할 기업으로 떠오를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국내 전기차 업체와의 MOU도 정부가 지난 16일 발표한 그린 뉴딜의 일환"이라며 "향후 친환경 자율주행차 저변 확대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KT관계자는 "클라우드 생태계 활성화 및 클라우드 기반의 디지털 혁신을 가속화시켜 디지털 뉴딜의 한 축을 담당하고자 한다"라며 "모빌리티 전문기업과 협업해 모빌리티 서비스에 대한 경쟁력을 높이고 나아가 국가의 새로운 산업 발전에 기여하겠다"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