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야전기보일러 '값 비싼 애물단지' 골칫거리
상태바
심야전기보일러 '값 비싼 애물단지' 골칫거리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고유가 시대 속에서 저렴한 난방비로 대환영을 받았던 심야전기보일러는 전기료 상승과 보일러의 잦은 A/S등으로 인해 이제 애물단지로 전락했다. 

 

심야전기보일러는 초기설치비용이 600만원이상 들어가지만 값싼 전기료와 더불어 한국전력공사에서 무료 외선공사와 보조금 등의 혜택을 줘 설치자가 증가하다가 2001년이후 보조금 혜택등이 폐지되고 매년 심야전기요금을 적게는 5.9%에서 많게는 21.5%씩 올려 소비자들의 불만이 증가하고 있다. 

 

4년째 심야전기보일러를 쓰고 있는 A 모씨는 "한전에서 적극 권장하여 큰 마음 먹고 심야보일러를 설치하였으나 매년 오르는 전기요금 때문에 스트레스가 쌓이다"며 분통을 터트렸다. 

 

이에 대해 한전 관계자는 "1989년부터 거의 10년 가까이 심야전기요금은 40원/kWh으로 변동이 없어 수 천억원대의 적자가 발생해 요금의 현실화가 절실했다"면서 "간혹 요금인상 전후에 보일러를 설치한 고객들 중에서 항의나 민원이 들어오지만 어쩔 수 없는 것 아니냐" 라고 말했다.

 

한전은 2001년까지 심야전기보일러 설치를 적극적으로 권장하고 일부 설치비용을 지원하는 제도를 운영하여 구도심이나 농촌형 전원주택 등에서 설치 비율이 해마다 증가되었다. 이로인해 전력 예비율 부족현상이 나타나 수요관리 차원과 비용으로 인해 지원정책을 모두 중단했다. 

 

심야전기보일러의 피해는 비단 심야요금에만 국한되어 있는 게 아니다. 비싼 설치비용을 부담했지만 설치비용에 맞먹는 A/S와 담당 업체의 쌀쌀하고 무성의한 태도에 화가 치밀기도 일쑤다. 

 

B 모씨는 기름값보다 훨씬 저렴하면서 보일러의 수명은 반영구적이여서 20년은 거뜬히 사용할 수 있다는 말에 600만원 이상을 투자해 설치했다. 

 

4년이 채 안되었는데 보일러는 현재 녹물이 나와 도저히 물을 사용할 수 없어 시공업체측에 A/S를 요구하고 깜짝 놀랐다. 

 

담당자는 "초기 설치했던 온수 철통과 법랑코팅에 문제가 있어 현재는 철통과 스텐레스파이프로 판매되며 교체비용은 100만원"이라고 말했다. 

 

C모 씨도 작년 심야전기보일러를 530만원을 들여 설치했지만 막상 겨울에는 무용지물이었다며 한탄했다. 겨울 한달내내 보일러가 작동되지 않아 여러번 A/S를 요청하였으나 묵묵부답이었고 업체측은 A/S접수를 받은 적이 없다며 되레 고객에게 짜증을 내고 연락을 피하는 등 불성실한 대응의 연속이었다. 

 

"아기가 있어 늘 난방이 유지되어야 하는데 추운 지난 12월달에 방이 너무 차가워 잠을 제대로 잘 수 없는 상황이었다"며 분통을 터트렸다. 

 

그는 보일러 교체나 철거를 요청했지만 그것 마저도 쉽지 않은 상황이여서 한전에 문의했다. 

 

한전에서는 "업체측에서 상품하자를 확인한 다음 교체 받아야 하고  만약 교체해주지 않으면 하자보증보험을 통한 하자비용만 보상받을 수 있다"며 "뚜렷한 해결책은 없고 민사소송을 통해 공사비를 뺀 기기값을 해결하는 수밖에 없다"는 무책임한 답변이었다.

 

이같이 심야전기보일러에 대한 제품하자나 잦은 고장에 관한 사례는 한국소비자원에 꾸준히 접수되고 있으나 그 해결책은 지지부진한 실정이다. 

 

한국소비자원에 접수된 보일러 관련 소비자 불만 건수는 2005년 1196건, 2006년 1292건, 2007년 (8월말) 632건이다. 또 구제 건수는 2005년 80건, 2006년 134건, 2007년(8월말) 109건으로 계속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인 피해유형으로는 A/S불만 관련 피해가 전체 접수 건수 중 36.8%(119건)으로 가장 많았고, 난방 미흡 및 작동불량이 25.1%(81건), 계약 해제 및 해지 관련 피해가 21.7%(70건)으로 전체 피해의 83.6%를 차지했다. 

 

한국소비자원은 "보일러를 구입할 때는 계약 내용, 품질보증기간, 피해 유형별 보상기준, 보일러 수리 내역 등을 잘 알고 있어야 하고 관련서류를 보관하고 있어야 한다"고 조언했다. 

 

특히 "심야전기보일러일 경우, 제품 또는 설치 상 하자인지, 소비자의 사용상 과실인지에 대한 다툼이 많이 발생하지만 제조업체와 시공업체 간에 책임을 떠넘기는 사례가 많아 소비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사진출처=한국소비자원)

정지영 기자 freejy@consumertimes.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