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건설, 또 신용등급 강등 '위기'
상태바
포스코건설, 또 신용등급 강등 '위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규모 손실에 재무 악화…이대로 가면 등급하향 조건 충족
   
 

[컨슈머타임스 김수정 기자] 포스코건설(대표 한찬건)이 또 한 번 신용등급 강등 위기에 몰렸다. 대규모 손실을 낸 데다 재무상태까지 악화되면서 신용평가사들이 제시한 등급하향 검토 조건에 점점 가까워지고 있다.

8일 업계에 따르면 나이스신용평가와 한국신용평가, 한국기업평가 등 신용평가 3사는 지난해 말 포스코건설 신용등급 전망을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낮춰 잡았다. 전망 하향의 근거는 실적과 재무상태 악화다. 현재 포스코건설의 신용등급은 'A+/부정적'이다.

포스코건설은 지난해 연결 매출액이 2015년(8조9653억원) 대비 21.5% 감소한 7조342억원에 그쳤다. 영업손실 6178억원과 당기순손실 7870억원을 내면서 적자로 돌아섰다. 1분기(영업이익 27억원)를 제외하고 매 분기 적자가 쌓였다. 특히 4분기에만 3345억원 영업손실이 났다.

자기자본이 줄면서 2015년 143%였던 부채비율은 작년 말 203%로 커졌다. 원가와 운전자금 등 부담이 커지면서 순차입금이 7292억원으로 증가했다. 2015년까지만 해도 현금 보유고가 차입보다 많은 순차입금 마이너스(-) 상태였다. 차입금 의존도는 15.5%에서 22.3%로 높아졌다.

대규모 적자의 원인은 해외 프로젝트에 기인한 손실과 구조조정 비용 등이다.

지난해 포스코건설의 중남미∙중동 프로젝트에서 원가율이 대폭 조정됐다. 브라질 CSP 제철소 프로젝트에서만 1374억원 손실이 났다. 사우디 아람코 황이송설비 프로젝트에서 993억원, 아부다비 담수 프로젝트에서 440억원 손실이 발생했다.

포스코그룹은 건설사업 실적 악화에 대응해 포스코건설과 포스코엔지니어링, 포스코에이앤씨건축사무소 등 건설부문에서 대규모 구조조정을 실시했다. 각 회사별로 희망퇴직을 접수해 결과적으로 총 970여명이 퇴직했다. 이들에 대한 퇴직급여 등 비경상 비용 1066억원이 손실 처리됐다.

지난달 합병한 포스코엔지니어링의 원가율 높은 사업장과 차입금이 포스코건설로 이관된 것도 우려 요인이다. 작년 11월 송도국제도시개발사업의 만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채무 8787억원을 인수하기로 하면서 송도개발사업발 우발채무 리스크도 확대됐다.

등급 추가강등 가능성이 제기된 건 올 초 작년 4분기 실적이 공개되면서다. 작년 12월 등급전망 하향 당시 작년 4분기 실적은 고려되지 않았다. 그런데 4분기 손실폭이 1~3분기 손실을 합한 규모인 것으로 알려지면서 신평사들은 우려 섞인 시선을 보내고 있다.

나이스신용평가는 등급전망 하향 당시 별도재무제표 기준으로 △영업현금흐름/총차입금이 2분기 연속 5% 미만을 지속하거나 △부채비율이 150%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 등급하향을 검토할 수 있다고 밝혔다.

한국신용평가는 연결 기준으로 △3% 미만 영업이익률이 지속될 경우 △ 조정PF 반영 부채 비율(부채+조정PF-현금성자산/자기자본)지표가 200%을 넘을 경우 등급하향 검토 요인으로 제시했다. 조정PF는 일반 PF연대보증과 채무인수, 자금보충, 조건부채무인수 등 유사보증을 말한다.

포스코건설은 작년 3~4분기 연속으로 영업현금흐름/총차입금 지표가 마이너스를 지속했다. 연말 잠정실적 기준 별도 부채비율은 145%다. 영업이익률은 2015년부터 3% 미만인 상태다. 조정PF 반영 부채비율 지표는 지난해 190%를 넘어섰다.

김가영 나이스신용평가 수석연구원은 "포스코건설은 진행중인 해외 프로젝트에서 원가율 재조정이 이뤄지면서 큰 손실이 발생한 만큼 추가손실 발생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며 "협상중이거나 진행률이 낮은 현장을 중심으로 원가율 추이를 면밀히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이와 관련 포스코건설 관계자는 "올해는 흑자전환에 성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