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 유출 피해 줄이려면 최대한 빨리 신고해야"
상태바
"개인정보 유출 피해 줄이려면 최대한 빨리 신고해야"
  • 이화연 기자 hylee@cstimes.com
  • 기사출고 2015년 07월 07일 15시 43분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개인정보 유출 피해 줄이려면 최대한 빨리 신고해야"

[컨슈머타임스 이화연 기자] 금융감독원은 개인정보 유출이나 금융사기 피해가 발생하면 최대한 빨리 신고해야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고 7일 밝혔다.

금감원은 정보보호의 날을 하루 앞두고 발표한 금융소비자 유의사항에서 이같이 설명했다.

개인정보 유출이 발생하면 금감원 '불법 사금융 및 개인정보불법유통신고센터'(☎ 1332)나 금융회사 영업점을 방문해 개인정보 노출자 사고예방시스템에 등록하면 된다.

금융사기 피해를 당한 경우에도 즉시 신고해야 사기범 계좌를 빠르게 지급 정지할 수 있다. 사기범 계좌를 빨리 지급 정지할수록 돌려받을 수 있는 금액이 늘어난다.

명의도용 피해가 우려된다면 신용정보 조회중지 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다. 이 서비스는 신용조회회사에 신용정보 조회 중지 서비스를 신청하는 것으로 제3자가 명의를 도용해 대출이나 카드를 발급받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개인정보 유출로 피해를 본 경우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에 손해배상 등 분쟁조정을 신청할 수 있다.

정보 유출을 사전 예방하기 위해 이메일이나 웹하드 등 인터넷 공간에 공인인증서와 보안카드, 비밀번호를 저장하지 말고 출처가 불분명한 이메일이나 문자메시지 상의 인터넷주소를 클릭하지 말아야 한다.

금감원이나 검찰, 경찰청 등 정부기관과 금융회사는 어떠한 경우에도 전화 또는 문자메시지로 개인정보와 금전을 요구하지 않는다.

금융상품 마케팅 전화나 문자 수신거부를 원한다면 금융권 연락중지청구 홈페이지(www.donotcall.or.kr)에 신청하면 된다.

아울러 금감원은 올해 상반기 중 접수된 개인정보 관련 민원이 468건으로 집계됐다고 전했다. 접수된 민원 중에는 개인정보 유출에 따른 금전적 피해구제와 금융회사의 과도한 개인정보 수집 또는 관리 소홀 등에 대한 불만이 많았다.

금융소비자 피해 측면에서 보면 휴대전화 문자메시지나 QR코드를 대량 전송해 악성 앱을 설치한 후 개인정보를 탈취하는 금융사기 기법이 기승을 부렸다.

안심전환대출이나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등 사회적 이슈에 편승해 정부기관을 가장, 개인정보를 요구하는 사례도 많았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