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경기변동성 축소…경기부진 장기화 우려
상태바
한국 경기변동성 축소…경기부진 장기화 우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컨슈머타임스 조선혜 기자] 한국의 경기 변동성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크게 축소된 것으로 나타나면서 경기 부진이 장기화될 수 있다는 진단이 나왔다. 

21일 한국은행 동향분석팀 강한구 차장 등이 발간한 '경제의 변동성 축소 원인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총생산(GDP) 순환변동치 표준편차는 1990년대 1.43에서 2000년대 1.00, 2010년 이후 0.54로 계속 낮아졌다.

이는 외환위기와 금융위기를 제외한 기간에 대한 통계를 낸 것이다. GDP 순환변동치 표준편차는 경기 변동성을 가늠할 수 있는 지표다.

강 과장은 "한국의 경기 변동성은 추세적으로 축소되는 모습"이라며 "민간소비, 설비투자, 수출 등 모든 수요 부문에서 변동성이 줄었다"고 말했다.

경기 변동성이 줄어들면 국가의 경제 안정성이 높아지고 불확실성이 줄어든다. 투자 규모와 성장률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경제성장률이 낮아진 상황에서 경기 변동성 축소가 함께 나타나면 경기 상승 동력을 확보하기 어려워지면서 경기 부진이 길어질 수 있다는 게 연구진들의 설명이다.

한국의 경기 변동성이 축소된 원인으로는 물가변동성 감소와 금융발전, 서비스업의 비중 증가, 추세 성장률의 지속적인 하락, 경상수지 흑자 기조의 지속 등이 꼽혔다.

물가안정목표제가 시행되면서 기대 인플레이션 변동성이 축소됐고 값싼 중국산 수입품으로 물가변동성이 감소해 경기 변동성이 줄었다.

제조업에 비해 변동성이 작은 서비스업이 고용·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상승한 점과 세계 경제의 변동성이 전반적으로 축소된 점도 영향을 미쳤다. 

강 과장은 "내재적인 성장 동력이 위축돼 경기변동성이 축소한 경우를 경계해야 한다"며 "경기 모멘텀을 확보하고 성장 잠재력 확충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적 대응 방안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이어 "실물경기의 변동성 축소가 금융시장이나 자산시장의 변동성 축소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며 "오히려 자산시장의 불균형이 커진 이면을 반영하는 현상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