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기 온다면 美 양적 완화 종료, 中 경기 둔화 등이 요인"
상태바
"금융위기 온다면 美 양적 완화 종료, 中 경기 둔화 등이 요인"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컨슈머타임스 조선혜 기자] 한국에 금융위기를 불러올 수 있는 위험 요인으로 미국 양적 완화 종료와 가계부채 문제, 중국의 경기 둔화가 꼽혔다.

한국은행은 최근 77개 국내외 금융기관 전문가 90명을 상대로 시스템적 리스크 조사를 한 결과 이들 3개 요인이 핵심 리스크로 꼽혔다고 16일 밝혔다.

시스템적 리스크란 금융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아 1997년 외환위기 때처럼 환율, 주가 등이 요동치면서 실물경제에 심각한 영향을 주는 것을 말한다.

조사 결과 미국의 양적 완화 종료(조기 금리 인상)는 70%로 집계됐다. 1년 이내의 단기 리스크로 영향력은 크지만 실제 가능성은 중간 수준이라는 평가가 나왔다.

가계 부채(67%)는 1∼3년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중기 리스크로 발생 확률도 높고 영향력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의 경기 둔화(64%)는 중·단기 리스크로 역시 발생 확률이 높고 영향력도 큰 것으로 평가됐다.

올해 2월 조사 결과와 비교하면 신흥국 금융불안은 응답률이 50% 미만으로 핵심 리스크에서 아예 빠졌다. 미국의 양적완화 등 3개 요인에 대한 응답률도 모두 낮아졌다.

한은 관계자는 "상대적으로는 가계부채를 꼽은 응답률이 중국 경기둔화보다 더 높게 나온 것도 차이점"이라고 설명했다.

1년 이내에 한국에서 금융시스템 리스크가 발생할 가능성에 대해서는 '낮다'는 응답이 60%로 올해 2월 조사 때보다 늘어났다. '높다'는 답은 33%에서 9%로 줄었다.

향후 1∼3년 사이에 발생할 가능성은 '낮다'는 응답이 30%에서 26%로 줄고 '높다'는 23%에서 28%로 늘었다.

금융시스템의 안정성에 대한 향후 3년간 신뢰도는 '높다'는 응답이 39%로 지난 2월 조사 때의 42% 보다 다소 줄고 '낮다'는 대답은 8%에서 11%로 늘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