잇단 부동산 규제에도 높은 경쟁률을 기록하며 '청약 불패'라고 불렸던 서울 분양시장에도 찬바람이 불기 시작한 것이다.
한 단지의 사례를 두고 서울지역 청약 열기가 식었다고 보긴 어렵지만, 앞으로는 분양가나 지역에 따라 청약 당첨자의 희비가 크게 엇갈릴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 |
▲ 서울 광진구 화양동 'e편한세상 광진 그랜드파크' 조감도 |
12일 금융결제원 아파트투유에 따르면 전용 서울 광진구 화양동 'e편한세상 광진 그랜드파크' 84㎡E형 청약 당첨자의 가점은 84점 만점 기준으로 16점으로 나타났다. 84㎡C형도 청약 가점 하한선도 84점 만점 기준 17점에 그쳤다.
지난달 말 분양한 e편한세상 광진 그랜드파크는 전체 730명 모집에 1706명이 지원해 2.34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특히 서울을 기준으로 보면 2017년 9월 중랑구 면목동 '한양수자인 사가정파크' 전용 84㎡ D 형 최저 당첨 9점 이후 1년 5개월 만에 최저점을 기록했다.
이 가운데 전용 115㎡는 전 주택형 1순위 모집에서 모집인원을 다 채우지 못했다. 서울에서 1순위 청약이 미달한 것 역시 2017년 9월 이후 처음이다.
주택형별 평균 당첨 가점은 84㎡ A형 38점, 84㎡ B형 32.1점, 84㎡ C형 33.08점, 84㎡ D형 32.45점, 84㎡ E형 28.64점, 115㎡ A형 34.88점으로 집계됐다.
이는 서울에서 분양한 동대문구 용두동 'e편한세상 청계 센트럴포레' 평균 당첨 가점(53.8∼64점)의 절반 수준이다.
e편한세상 광진 그랜드파크는 전 주택형 분양가가 9억원을 넘어 부동산 등을 거래할 때 계약금과 잔금 사이에 일부 치르는 돈인 중도금 대출이 불가능한 데다가 주변 시세와 비교할 때 청약자들은 저렴하지 않다고 여겨 청약자들의 관심을 받는 데 실패한 것으로 평가됐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청약시장이 무주택 실수요자 중심으로 재편되면서 가격에 대한 민감도가 높아졌다"며 "앞으로는 서울과 같은 기존 인기지역에서도 동네별, 가격별로 양극화가 나타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