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모빌리티, 자전거 공유 서비스 성공할까
상태바
카카오모빌리티, 자전거 공유 서비스 성공할까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각 지자체와 논의 단계…中 시장서 드러난 한계점 보완여부가 성패 가를 듯
[컨슈머타임스 송가영 기자] 카카오모빌리티가 택시 호출과 차량 공유에 이어 이번엔 '마이크로 모빌리티' 영역으로 손을 뻗었다. 업계선 대체로 환영하는 분위기지만 내년 1분기 전기 자전거 시범 서비스를 앞두고 앞서 유사한 서비스를 시행하다 실패한 중국시장의 전례를 밟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마이크로 모빌리티는 친환경 동력 개인용 이동수단을 뜻한다. 자전거, 전기차 등이 이에 속한다. 최근 국내외에서 친환경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면서 이들 이동수단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는 추세다.

이에 따라 카카오모빌리티는 지난 5일 국내 자전거 기업인 삼천리자전거와 알톤자전거가 카카오모빌리티와 손잡고 '전기 자전거 공유 서비스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들은 전기 자전거 공유 서비스를 통해 새로운 교통 인프라를 구축하고 단거리 이동 수요를 해소하자는데 공감대를 형성했다.

먼저 일반 자전거와 달리 전기 모터를 탑재한 PAS(Pedal Assist System) 방식으로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원하는 시간만큼 사용이 가능해 이동 편의성을 증가시킨다는 계획이다.

또한 원하는 이동 구간,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이용할 수 있도록 해 도시 공원, 천변 등을 즐기는 레포츠용으로도 활용할 수 있게 할 방침이다. 이를 통해 레저 문화 형성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카카오모빌리티 관계자는 "구체적으로 어떤 시스템으로 운영해 나갈지는 각 지자체들과 어떻게 협의하느냐에 따라 달라질 것"이라며 "구체적인 정식 서비스 런칭을 언급하기 힘들지만 지자체들과 다양하게 논의를 해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를 두고 업계에서는 카카오모빌리티의 마이크로 모빌리티 서비스 확장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앞서 중국 자전거 공유 서비스에서 나타난 한계점을 극복할 방안도 제시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중국의 자전거 공유 기업 1세대인 '오포(ofo)'는 지난 2015년 베이징대학교 캠퍼스에서 시작해 중국인들에게 자전거를 효율적인 단거리 이동수단으로 제공해왔다.

환경오염을 줄이는데 기여할 수 있고 비교적 저렴한 가격대에 짧은 거리를 빠르게 이동할 수 있다는 점은 자전거 문화가 정착돼있던 중국인들에게 큰 메리트였다. 한국보다 자전거를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알려진 중국에서 자전거 공유 서비스 시장은 빠른 속도로 성장했다. 이후 오포는 국내외에서 적극적인 투자를 받아 전세계로 빠르게 퍼져나갔다.

하지만 그만큼 문제점도 다수 발생했다.

중국의 자전거 공유 시장을 선도했던 오포는 현재 디디추싱과의 합병, 파산, 자금난 등의 구설수에 휘말리고 있다. 자전거 공유 서비스로 중국내에서 등장한 문제점들을 제대로 해결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오포 자전거 자체의 원가가 낮아 잠금 장치가 제대로 설치돼 있지 않은 점이 문제였다. 도난, 파손, 분실돼도 GPS가 탑재돼 있지 않아 본사에서도 상황을 알 수가 없었다.

또한 오포는 신용 보증 점수제도를 도입해 빌린 자전거를 지정된 공간에 두면 신용점수를 올려주는 등 포인트를 보증금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하지만 실제 운영단계에서는 효과를 보지 못했다. 이로 인해 이곳저곳에 버려져있는 자전거가 적지 않았고 이 과정에서 폐기처리되는 자전거의 수는 셀 수 없을 정도로 증가했다.

중국 내에서는 오포가 문제점을 인식하고 있고도 제대로 고치려는 노력을 하지 않아 결국 지금의 사태에 이르렀다는 분석이 압도적이다.

한국에서도 이러한 문제점들이 불거지지 않으리란 보장이 없다. 실제 오포가 올해 초 한국에 들어왔을 당시에도 공유 자전거의 개인 소유화 문제가 한 차례 불거진 바 있다.

하지만 카카오모빌리티의 자전거 공유 서비스는 아직 각 지자체와 협의 중인 단계다. 구체적으로 사업방향이 나온 게 없다. 그런 만큼 현재 오포의 상황에 놓이게 될 것이라는 분석은 시기상조다. 

다만 중장기적으로 볼 때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문제들인 만큼 신중하고 세밀한 논의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함께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택시, 자차처럼 소유주가 있는 형태가 아니라 카카오모빌리티와 지자체가 함께 운영하는 방식이 될 가능성이 높다"며 "'공유의 의미를 살리기 위해 운영 방식부터 중국 시장에서 발생한 것처럼 여러 문제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대책도 준비해야할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