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MW화재사건, 자동차 정책 재정립 계기 되어야
상태바
BMW화재사건, 자동차 정책 재정립 계기 되어야
  • 김종훈 한국 자동차 품질연합 대표 admin@cstimes.com
  • 기사출고 2018년 08월 06일 09시 49분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80730_251739_4718.jpg
얼마 전 부터 BMW 특정 차종에서 지속적으로 화재가 발생하고 있다. 시일이 한참 지난 최근에서야 사후약방문으로 자발적 리콜을 발표하였다. 주행 중 차량에 화재가 발생한다는 것은 안전운행에 지장을 주는 것은 물론 심각한 결함으로 받아 들여야 한다. 여태껏 동일 모델에서 여러 대의 차량이 화재가 난 적은 없는 것으로 기억하고 있다.

피해 소비자는 경제적 손실에 불편이 이만저만이 아닐 것이다. 해결책이 나오기 까지 소비자는 대책없이 기다려야 한다. 주객이 전도된 것이다. 비싼 수입 자동차를 구입해 화재가 발생하면 피해를 감수하는 것은 고스란히 소비자 몫이다.

자동차 리콜은 쉽게 얘기하면 결함을 인정하고 무상 수리를 해준다는 뜻이다. 피해보상까지 포함되어 있지 않다. 대개 소비자들은 리콜을 실시하면 차량교환 등 피해보상까지 해주는 것으로 알고 있다.

여론에 등 떠밀린 BMW는 렌터카 제공과 신차 교환 까지 제시하고 있다. 상당히 이례적인 조치이다. 그만큼 화재발생 결함이 심각하다는 의미다. 이러한 보상조건이 명분에 그치지 않으려면 소비자 보상 기준이 구체적으로 제시하여야 한다. 처음부터 신속하게 원인규명을 하고 적극적으로 대응을 하였더라면 소비자는 불안해하지 않았을 것이다. 화가 난 일부 소비자들은 집단소송을 제기하기도 하였다

자동차회사는 새 차 출고 전이나 출고 후에도 지속적으로 결함 유무를 추적한다. 설계상이나 제조공정상 등의 결함이 나타날 경우 자동차 제작사가 가장 먼저 인지하게 된다. 즉 차를 만든 자동차회사가 원인을 밝혀낼 수 있다는 뜻이다. 개선 품이 나오기 까지는 수많은 테스트를 거친다. 이러한 테스트를 거친 후 생산차량에 장착하여 이상 유무를 체크한다. 짧은 기간에 교체를 약속한다는 것은 역설적으로 상당기간 결함을 알고 있었다는 의미다.

수입자동차회사는 한국 소비자들이 수입차를 선호한다는 소비행태를 악용해 판매에만 열을 올린 게 사실이다. 판매한 만큼 정비센터도 늘려야 한다. AS를 받기 위해서 대기를 해야 하고 부품비용 또한 만만치 않다. 소비자가 불만을 제기하면 적극적인 해결은 뒷전이다. 본사와 딜러점간 핑퐁식으로 소비자만 골탕을 먹인다. 리콜 또한 판매 감소, 이미지 손상 등의 이유로 늦장 대응을 한다.

이번 BMW차량 화재 사건을 계기로 자동차 리콜이나 피해보상에 대한 전반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감독기관은 자발적 리콜에만 의지할 것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결함조사를 할 수 있는 시스템 확보와 인력보강으로 재발방지 정책을 수립하여야 한다.

한국소비자원 등도 자동차 결함 감시에 많은 투자를 해서 소비자가 쉽게 제보할 수 있도록 창구 활성화가 필요하다. 소비자 또한 화재 사건, 디젤게이트 등을 겪으면서 수입자동차는 무조건 좋을 것이라는 막연한 환상을 버려야 잘못된 수입차 피해를 막을 수 있다./김종훈 한국 자동차 품질연합 대표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