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의 옥시'로 번진 생리대 파문, 민관 모두의 책임
상태바
'제2의 옥시'로 번진 생리대 파문, 민관 모두의 책임
  • 이화연 기자 hylee@cstimes.com
  • 기사출고 2017년 09월 11일 07시 11분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0.jpg
[컨슈머타임스 이화연 기자] 생리대 잔혹사는 어제 오늘 일이 아니다. '필수품'이라는 점을 악용한 기업들의 일방적 가격 인상부터 소비자 불만 입막음까지 종류도 다양하다.

일부 소비자들은 지속적으로 '염증이 생긴 것 같다' '생리 주기가 불안정해졌다' 등의 하자를 호소하만, 이를 조사해줄 기관도 마땅히 없다.

외국과 비교해 비싼 가격도 문제다. 최근에는 저소득층 청소년들이 생리대 값에 부담을 느끼고 있다는 게 사회문제로 지적됐다.

생리컵이나 면생리대가 각광받기 시작한 것도 이 같은 불신에 서다.

특히 지난 3월 여성환경연대가 업체, 브랜드명을 공개하지 않은 채 생리대 유해물질 조사결과를 발표하자 소비자들의 불안감은 고조됐다.

해당 조사는 여성환경연대와 강원대학교 김만구 교수가 공동 실시한 것으로, 생리대 접착제 물질의 유해성을 실험한 결과다.

이후 깨끗한나라의 '릴리안'이 조사 대상이었다는 것이 알려지자 후폭풍이 몰아쳤다. 관계 기관인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부랴부랴 전수조사에 들어갔고, 소비자들은 소송준비에 나섰다.

그러다 분위기는 곧 반전됐다. 해당 조사에서 발암물질이 가장 많이 검출된 건 깨끗한나라가 아닌 유한킴벌리라는 사실이 알려졌기 때문이다.

조사 결과가 속 시원히 공개되지 않아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이 와중에도 식약처는 "해당 조사는 완전히 신뢰할 수 없다"는 입장만 강조했다.

유한킴벌리 임원이 여성환경연대 이사 5인 중 1명이라는 소식까지 전해지자 '생리대 게이트'로 비화되는 조짐을 보였다. 결국 식약처는 당초 '신뢰할 수 없다'던 여성환경연대와 김만구 교수의 실험 결과를 대중에게 공개했다.

'생리대 스캔들'에 대한 이해도와 사회적 공감이 충분히 숙지됐는지 의심되는 부분이다.

식약처의 전수조사 결과가 내년에나 발표되는 만큼 해당 조사가 어떤 점에서 부족하고, 왜 신뢰해선 안 되는지 설명은 차치하고 '기싸움'을 펼치는 판국이다.

아울러 식약처는 실제 피해자들과 제품 간의 역학관계를 실시하지 않겠다고 선언한 상황이라, 보다 정확한 분석을 위해 다른 정부기관과의 협업도 필요하다.

사실상 '독점 시장'이 형성된 만큼 그동안 생리대 제조사들은 우월적 지위를 행사했으며, 이로 인해 소비자들은 '울며 겨자 먹기' 식으로 제품을 구매해 사용했다.

정부는 지금까지 떠넘겨온 책임을 더 이상 미뤄서는 안 된다. 식약처는 관계 기관, 더 나아가 민간 연구 기관과 소통하며 믿을 만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해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