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개미가 공매도를 싫어하는 진짜 이유
상태바
[기자수첩] 개미가 공매도를 싫어하는 진짜 이유
  • 김동호 기자 news4u@cstimes.com
  • 기사출고 2017년 09월 04일 07시 56분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자수첩.PNG
[컨슈머타임스 김동호 기자] "이게 다 공매도 때문이다."

한 증권투자자 게시판의 글이다. 주식투자를 하는 사람들을 만나다 보면 종종 공매도를 비난하는 이야기를 듣게 된다. 공매도 때문에 주가가 오르지 않는다던가, 공매도 세력이 의도적으로 회사에 부정적인 뉴스, 혹은 소문을 퍼트린다는 등의 얘기다.

공매도는 주식투자자들에겐 공공의 적이다. 특히 개인 투자자(일명 개미)들은 정말 공매도를 싫어한다.

이들은 왜 그렇게 공매도를 싫어할까? 공매도는 단어의 뜻 그대로 '없는 것을 판다'는 의미다. 주식시장에서 공매도는 자신이 소유하지 않은 주식을 파는 행위다. 다른 사람의 주식을 빌려 우선 매도한 후 주가가 떨어지면 그 주식을 사서 본래 주주에게 빌렸던 주식을 다시 돌려준다.

문제는 '주가가 떨어지면' 바로 이 부분이다. 공매도 자체가 주가가 떨어질 것을 예상하고 그 차익으로 이득을 얻는 행위이기 때문에, 해당 기업의 주주들 입장에선 싫어할 수 밖에 없다.

공매도가 싫어 코스닥 시장을 떠나 코스피로 가야한다고 주장하는 주주들도 있다. 바로 셀트리온 주주들이다. 과거 셀트리온은 공매도 세력과의 전쟁을 선포할 정도로 공매도에 대한 적대감을 드러내왔다.

공매도에 분노한 주주들의 목소리가 모인 결과, 셀트리온은 오는 9월 29일 임시주주총회를 열고 코스피 이전 상장을 위한 결의에 나선다. 물론 결과는 알 수 없지만 금융투자업계와 투자자들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는 게 사실이다.

금융당국도 이 같은 분위기를 감지하고 있다. 금융당국은 분노한 투자자들을 달래고 자본시장을 건전화하기 위해 지난 3월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제도를 실시했다.

하지만 그 효과는 미미했다. 지난 3월 제도가 시행된 이후 실제 적발된 공매도 과열 종목은 코스피 5회, 코스닥 6회에 그쳤다. 시장별로 한 달에 1개 종목에 불과한 셈.

이에 당국은 지난 23일 공매도 제도개선 및 제재강화 방안을 내놨다. 기존 제도에서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을 위한 조건들을 보다 완화했다. 오는 9월 말부터는 공매도 비중 기준이 코스피 18%, 코스닥 12%로 이전보다 낮아지고, 공매도 비중 증가율 대신 공매도 거래대금 증가율로 지정요건이 변경된다.

당국은 제도 강화에 따른 효과를 자신하고 있지만, 사실 얼마나 효과가 있을지는 미지수다. 그저 숫자 놀음에 불과하다는 생각마저 든다. 지정요건에 속하는 숫자를 조금 변경했다고 공매도의 부작용이나 그 피해가 사라질지 의문이다.

공매도는 여전히 일부 외국인과 기관 투자자의 전유물처럼 활용되고 있다. 개인 투자자들이 공매도를 하기엔 종목 선정이나 물량 확보 등에서 제약이 많다. 개인 투자자가 공매도에 특히 예민한 반응을 보이는 이유도 사실은 여기에 있다.

투자의 수단은 모두에게 공평하게 제공돼야만 한다. 공매도 과열종목을 지정하는 정도론 안된다. 공매도 제도 자체에 대한 보다 진지한 논의와 개선이 필요한 시점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