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에 맞는 맞춤형 전기차 확산 전략 필요
상태바
대한민국에 맞는 맞춤형 전기차 확산 전략 필요
  • 김필수 perec@naver.com
  • 기사출고 2017년 06월 26일 06시 22분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필수(김필수자동차연구소장, 대림대학교 자동차학과 교수)
김필수교수-칼럼.jpg

최근 전기차의 위세가 심상치가 않다. 전기차의 단점이 많이 사라지면서 이제 전기차는 단순한 미풍이 아닌 자동차 주류로 들어왔다.

물론 세계 연간 차량 판매 9500만대 중 아직 100만대에 그치는 미미한 숫자이지만, 머지 않아 500만대 이상 판매가 예상된다.

전기차가 주도권을 쥐는 시기가 멀지 않았다는 뜻이다. 지구 온난화 등 국제적 환경 기준이 강화되면서 그 속도는 더욱 빨라질 것이기 때문이다.

향후 수십년은 내연기관차와 하이브리드차, 전기차, 수소 연료전지차가 중첩되면서 치열하게 점유율 싸움이 진행될 것이다.

  최근 전기차의 발전은 배터리의 개선과 충전 인프라 등 소비자가 불편하던 단점 다소 사라지면서 경쟁력이 올라가고 있다.

보조금이라는 인규베이터적 요소가 남아있으나, 이 부분도 경쟁력이 상승할 것이다.

여기에 전기차는 내연기관차보다 40% 부품으로 단순하고, 풍부한 전기에너지를 바탕으로 미래의 먹거리인 자율주행차 개발에 가장 가까워 징검다리 역할도 기대된다.

우리 먹거리 중 전기차가 중요한 이유이다.

올해 국내 전기차 보급은 3만대에 정도로 예상된다. 올해 보급분 1반4000대에다가 지난해 잉여분 4000대가 추가됐기 때문이다.

다만, 전기차 보급이나 확산은 국내에서 아직은 부족한 부분이 많은 게 사실이다. 유럽이나 미국, 일본, 중국보다 뒤진 보급과 확산전략, 긍정적인 홍보 이미지 등 다양성에서 부족한 부분이 많다.

대한민국에 맞는 맞춤형 전기차 확산 전략이 필요한 이유다.

우선 아파트 같은 집단 거주지가 도심지의 경우 70%에 이를 정도로 집중돼 있어 공용 주차장을 활용한 심야용 완속 충전기 설치장소 확보가 시급하다. 특정 장소로 한정된 부지와 시스템이 필요한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만큼 모바일 충전기를 활용해 충전소 활성화를 위해 매진해야 한다.

운전자가 쉽게 전기차를 활용할 수 있는 충전 인프라 종합 컨트롤 센터도 확보해야 한다.

전기차 운전자가 가장 스트레스를 받는 경우가 바로 충전 시설이다. 정부는 앞으로 모든 민관용 충전 시설을 통합해 관리하고 이를 토대로 운전자에게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달할 수 있는 종합 컨트롤 센터를 완성해야 한다.

운전자가 전기차용 네비게이션을 이용해 한눈에 자신의 충전 인프라를 색깔별로 확인할 수 있고, 쉽게 충전할 수 있어야 한다.

충전기 관리 예산의 별도 확보도 필요하다. 충전기 설치도 중요하지만, 이에 못지않게 충전시설의 지속적인 관리는 더욱 중요하다.

일본은 6000기가 넘는 급속충전기를 포함해 2만2000기가 넘은 충전시설을 갖고있다. 현지 정부는 이를 관리하기 위해 예산을 5년 단위로 책정하여 전국의 민관 충전기 시설을 살피고 있다.

우리는 수백 기 정도의 충전기를 구축하고 있지만, 고장난 충전기가 많다. 전기차 활성화를 위해 개선해야 할 요소다.

이들 문제를 개선해 전기차가 우리의 미래 먹거리로 확실히 자리매김하기를 바란다. 국내 자동차 시장은 작지만, 세계 시장 테스트 배드로 중요하기 때문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