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수동 새롭게 태어난다…문재인표 '뉴딜' 수혜 기대
상태바
성수동 새롭게 태어난다…문재인표 '뉴딜' 수혜 기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숲 전략정비구역 개발 겹호재

▲ 성수역-뚝섬역 고가철로
▲ 성수역-뚝섬역 고가철로
[컨슈머타임스 김수정 기자] 성동구가 내년까지 100억원을 투입해 성수동 곳곳 낙후 공간을 개선한다. 서울 도시재생사업의 일환인 이 작업은 문재인 대통령 핵심 공약인 '도시재생 뉴딜'과 맞물려 한층 탄력받을 전망이다.

서울숲 주변 전략정비구역 개발까지 완료되면 일대가 제2의 르네상스를 맞이할 것으로 기대된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서울시는 지난 11일 열린 제8차 도시계획위원회에서 성동구 성수동 도시재생활성화계획을 원안대로 가결했다. 이에 따라 내년까지 사업비 100억원이 성수동 사업대상지 재생 사업에 투입된다. 시가 90억원, 구가 10억원을 부담한다.

성수동 도시재생활성화는 서울시가 2014년부터 추진중인 서울형 도시재생사업 중 하나다.

서울시는 공모를 통해 성수동을 비롯해 서울역 역세권과 세운상가, 낙원상가, 창동-상계, 창신∙숭인 등 총 30곳을 사업대상지로 선정, 사업을 진행해왔다. 해당 대상지에 2020년까지 100억~500억원을 투입해 시설확충과 지역역량 강화를 지원하는 것이다.

첫 공모에서 성수동은 서울형 도시재생시범사업 1단계 시범사업지역에 선정됐다.

이번에 가결된 성수동 도시재생계획은 주민들 손으로 만들어졌다는 점에 큰 의미가 있다.

성수동이 서울형 도시재생시범사업으로 선정된 이후 성동구는 도시재생지원센터를 만들고 연구용역과 주민설문, 공청회, 의견공모 등을 실시해 약 300건의 주민의견을 수렴했다. 작년 2월 거주 주민과 일대 소상공인, 사회적 기업 등이 참여하는 주민협의체를 구성해 계획안을 마련했다.

도시재생계획은 크게 △일터재생 △삶터재생 △쉼터재생 △공동체 재생을 목표로 한다.

계획에 따라 성동구는 성수동 서울숲역과 뚝섬역, 성수역 고가철로 교각 아래 젊은 창업인과 장인 등이 입점할 수 있는 산업혁신공간을 조성한다. 아울러 뚝섬역-성수역 사이 고가철로 교각 아래 공간도 개선한다.

서울숲2길, 연무장길, 기동차길 등 약 2.7km 구간에는 지역문화 특화 가로를 만든다. 주요 단절 보도를 보수해 '안심길'을 조성한다. 서울숲길과 서울숲-성수동 이마트 본점 사이에 자전거 편의시설을 설치한다.

경일초등학교 맞은 편(뚝섬로 1길2)에는 성장지원센터를 지하1층~지상8층, 연면적 860㎡ 규모로 건립한다. 내년 완공될 성수1가2동주민센터 옆(왕십리로5길 5-1)에는 지하1층~지상6층, 연면적 900㎡ 규모의 나눔공유센터를 짓는다.

우선 투입되는 100억원 외에도 성동구는 443억원의 예산을 서울시∙민간 등과 함께 추가로 마련해 젠트리피케이션(임대료 상승으로 인한 원주민 내몰림 현상) 방지를 위한 공공임대점포 조성, 사회적 경제 패션 클러스터 조성, 수제화거리∙상원길 경관 개선 등을 연계 추진할 예정이다.

내년 재생사업이 마무리되면 성수동 주민들의 주거환경과 젊은 예술인∙창업인들의 여건이 크게 개선될 전망이다.

도시재생활성화 대상지의 80%는 준공업 지역이다. 1960~1990년대 이 동네에서 흥했던 봉제∙수제화∙금속 등 산업이 쇠락의 길로 접어들면서 현재 주거지역과 산업지역이 다소 어지럽게 혼재돼 있는 상태다. 상권의 경우 서울숲 효과로 임대료가 최근 5년새 크게 올랐다.

성수동 재생은 문재인 대통령의 핵심 공약인 '도시재생 뉴딜'과 함께 강한 추진동력을 얻을 것으로 보인다. 서울형 도시재생 자체가 도시재생 뉴딜과 성격이 비슷하다. 도시재생 뉴딜은 매년 10조원씩 5년간 총 50조원을 투입, 낙후 지역을 고유한 특색을 유지하면서 재생하는 사업이다.

성동구청 관계자는 "이번 도시재생사업 추진과 더불어 서울숲 주변 전략정비구역 등 주요지역 정비사업이 완료되면 성수동이 더 크게 변화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