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한의 세상이야기] 하늘이 준 선물, 시후롱징차
상태바
[김경한의 세상이야기] 하늘이 준 선물, 시후롱징차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슬로건.jpg
이슬이 막 가시기 시작한 아침나절 구릉은 태양을 서서히 품기 시작했다. 초록의 이불속으로 하늘의 빛이 타고 들어오는 순간이다. 그 포개어진 틈새 옆으로 흘러내린 녹색 차밭이 사면을 완벽하게 감싸고 있었다. 산줄기를 내려오는 이랑 곡선은 부드럽게 계곡 아래로 이어졌다. 신의 선물로 알려진 항저우 롱징차(용정차) 벌판은 그렇게 시간의 커튼을 열어 주었다.

시후롱징(西湖龍井)은 중국 10대 명차 중에서도 으뜸이다. 소주 삐루춘(碧?春), 황산 마오펑, 티에관인(鐵觀音), 치먼 홍차, 푸얼차(普耳茶), 모리화차(茅莉花茶)등을 제치고 언제나 최고를 차지해왔다. 오월하순 차밭은 짙푸른색으로 변해있었다. 청명 이전에 어린잎을 따내고 두 어 번 더 수확 한 뒤였다. 항저우 시내에서 30분 거리를 달려왔다.

롱징차는 겹겹이 둘러싸인 항저우의 산과 호수 비경속에서 만들어지고 있었다. 시후(西湖)의 전설과 버무려져 2천년의 오랜 스토리를 축적해 왔다. 900만 인구의 항저우 시내에는 찻집이 8천 여 곳에 이른다. 아시아 최대의 사찰 영은사(靈隱寺) 숲길의 이끼 낀 기와집 허름한 문간에는 어김없이 찻집이 있었다. 발길을 멈추고 앉아 창 너머에서 불어오는 대숲 바람을 벗 삼아 마시는 한모금의 롱징차는 언어의 표현을 넘어서는 경지다.

초봄에 따낸 최상품 차는 황제의 입술을 적셨다. 시후나 롱징은 물과 관련이 깊다. 시후는 시스(西施. 중국역사의 미인 서시)에서 온 이름이고 롱징은 원래 롱홍(龍泓)에서 유래했다. 시후 서쪽의 윙자산(翁家山)) 기슭 맑은 샘이 롱징이다. 롱징(龍井) 옆에 절을 짓고 차를 재배하는 스님을 따라 마시기 시작한 게 차의 시작이었다. 그 맛과 향기는 소문으로 중원까지 퍼지면서 차로 생계를 삼는 민초들이 생겨났다.

▲중국 항저우 롱징차 밭은 정부가 공차단지로 운영한다.

오랫동안 이어져온 차밭은 청나라 강희제 때 드디어 공차(公茶)로 인증되었다. 그의 손자 건륭이 이곳을 시찰하면서 맛본 롱징향취에 반해 벼슬을 내린 것이 오늘날까지 현존하는 롱징스빠커수(龍井十八?樹)다. 18그루의 차나무에 벼슬을 내리고 25가구가 재배하게 했다. 황실에 보내는 로열 티를 계약재배 했던 셈이다. 차밭을 오른쪽으로 돌아 나오는 곳이 어차(御茶)단지다. 물론 장쩌민이나 후진타오도 롱징 마니아였다. 차 박물관에는 장쩌민의 현판글씨가 방문객들을 맞이하고 있었다.

"아침 차 한 잔은 온 종일 힘이 넘치게 하고, 점심 차 한 잔은 일을 가뿐하게 해주며, 저녁차 한잔은 인생의 피로를 쓸어내 준다". 차 박물관에 새겨진 중국속담에 그들의 용정차 사랑이 가득 담겨 있다. 여린 촉을 따내어 만들어진 차 한 잔에는 음양오행과 시간의 이상을 포용하는 동양의 깊은 사상이 함께 녹아 있다.

롱징차는 최상품 500그램 한통에 20만 위안(3600만원)까지 거래된다. 차밭 비탈의 모든 새순을 따내 찌고 볶아 만든 인간수공의 정수이기 때문이다. 2003년 중국 최초의 유인유주선 선저우(神舟) 5호에 롱징차 종자가 탑재되었다. 우주환경에서 유전자 변이를 실험하기 위해서였다. 대륙사람들은 하늘에서도 롱징차 재배를 원하는 것일까.

중국어 초보시절 선생님의 엄격한 요구가 있었다. 중원의 역사에서 전해오는 7가지 생활용품 외우기. 장작, 쌀, 기름, 소금, 간장, 식초, 차가 그것이다. 굶어도 차는 마셔야 사는 게 중국인들이다. 왕삐밍(王泌明) 선생님을 회상하며 서호에서 오후를 보냈다. 아름다운 포시즌 호텔 호반에서 즐기는 롱징은 천상의 품격이다. 유리잔에 넣은 찻잎이 열수(熱水)에 꽃이 피듯 찬란하게 펼쳐졌다가 가라앉는 형상을 감상하다가 잔을 들면 이때 혀끝에 와 닿는 롱징 한 모금은 가히 미학적 영역이다.

당나라 중엽 이륭샹(意隆像)이 기른 제자 루우(陸羽)는 세계최초로 차문화집을 집대성했다. "차는 지상최고의 청순을 상징한다. 차를 만들고 차를 달여 마시기까지 '청결'이라는 이름의 길을 단 한 치라도 벗어나선 안 된다. 기름기 있는 손이나 찻잔이 조금만 찻잎에 닿아도 지금까지의 노고가 한순간에 사라져버린다". 차의 성인이 만든 다경(茶經)에는 인생의 풍요를 가져다주는 기품들이 고요하게 들어차 있다.

▲청나라 황실에서 지정한 18그루 차나무단지

차를 마시는 행위는 모든 허세와 사치스런 유혹에서 벗어나 마음을 말끔하게 한 뒤에 가지는 행복한 의식이다. "차는 깊은 밤 산중의 한 칸 집에 앉아 샘물로 다린다. 불이 물을 데우기 시작하면 작은 천둥 같은 하늘의 소리가 들린다. 마침내 찻잔에 차를 따른다. 부드럽게 활활 타오르는 불빛이 둘레를 비춰주고 있다. 이러한 한 동안의 기쁨은 도저히 속인들과 나눌 수 없는 것이다" (루우. 茶經)

나는 작설(酌舌)차를 즐긴다. 하동에서 올라오는 새순이 그만이다. 참새 혀처럼 작고 어린잎을 따 모아 만든 것이니 그 미지의 맛은 더 이상 설명이 필요 없다. 사회주의는 차, 자본주의는 커피로 대별되지만 우리의 차 문화 역시 전통이 깊다. 제주와 보성 녹차단지는 날로 번창하고 있다. 물질로 풍요로워진 오늘날, 정신의 가난은 어쩔 수 없는 현상이다. 맑고 깨끗한 차 한 모금은 이승의 복잡함과 영혼의 가난함을 모두 씻어 주고도 남는다.

김경한 컨슈머타임스 발행인 justin-747@hanmail.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