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갤럭시-아이폰 보험료 차등화, 근본 해결책 아니다
상태바
[기자수첩] 갤럭시-아이폰 보험료 차등화, 근본 해결책 아니다
  • 이화연 기자 hylee@cstimes.com
  • 기사출고 2016년 05월 23일 07시 40분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컨슈머타임스 이화연 기자] "'아이폰' 구입하실거면 보험 들어두시는 게 나아요. 나중에 수리비 엄청 깨집니다."

최근 아이폰으로 기종을 변경할 때 통신사 대리점에서 들었던 말이다. 기존에 삼성전자 '갤럭시' 시리즈를 썼을 땐 권유 받지 못했던 사항이다.

아이폰 할부원금은 99만9000원. 그럼에도 애플사의 악명 높은 수리정책을 떠올리니 보험을 간과할 순 없었다.

휴대전화 보험은 통신사와 보험사 간 약정에 따른 단체보험 성격으로 판매되고 있다.

통신사별로 명칭은 다르지만 '기본형' '프리미엄형'으로 나뉜다. 기본형은 액정 파손 등을 보상하며 2000원대다. 내·외부 수리를 모두 보장하는 프리미엄형은 4000원대 중반이다.

갤럭시·G시리즈 등 일반 휴대전화 보험료도 4000원대다.

이 가운데 아이폰 이용자들은 '청천벽력'같은 소식을 접했다. 금융당국이 아이폰 보험료를 50% 인상하겠다고 밝힌 것.

기존 약 5000원에서 7000원까지 보험료가 급등하게 됐다.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는 7∙8월, KT는 내년 초에 새로운 보험료 책정 방식을 적용할 예정이다.

아이폰의 경우 기기가 고장 났을 때 임시 휴대전화를 제공하는 '리퍼' 정책을 취해 타사와 달리 수리비가 높다는 이유에서다.

새누리당 박민식 의원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휴대전화 보험에 가입한 소비자가 지난해 1~11월 납부한 금액은 2862억원이다.

이 가운데 아이폰 사용자가 납부한 보험료는 776억원. 하지만 수리를 위해 지급한 금액은 1147억 원에 달했다. 손해율은 148%에 달했다.

보험사들은 이전부터 높은 손해율이 발생하는 아이폰에 대한 보험금을 타 휴대폰 이용자가 납부한 보험료로 충당하고 있다고 주장해왔다.

이에 따른 해결책으로 금융당국은 '휴대전화 보험료 차등화' 카드를 꺼내 들었다. 아이폰 보험료를 50% 올리는 대신, 삼성∙LG전자 등 보험료를 10~20% 낮춰 균형을 맞추겠다는 것.

과연 근본적 해결책이 될 수 있을까. 우선 수리비 차이가 나는 이유를 따져볼 필요가 있다.

국내 브랜드인 삼성∙LG전자의 경우 국내 거점지역에 마련된 서비스센터에서 기기의 문제를 즉각 해결해준다. 부품을 교체∙수리하는 식이다.

하지만 아이폰의 경우 무조건 기기를 교환하는 리퍼정책을 채택, 높은 비용이 발생한다.

결국 문제는 휴대전화 제조사의 정책에 달려있는 셈이다. 보험료 차등화가 근본적 해결책이 될 수 없는 이유다.

이 때문에 이번 결정이 사실상 국내 휴대전화 제조사들의 입김이 작용한 것 아니냐는 의혹까지 불거지는 상황이다.

사실상 휴대전화 보험료를 보험사가 아닌 통신사가 책정하는 구조도 문제라는 지적이다. 50% 증가라는 책정 기준도 모호하다.

지난해 '단통법'에 이어 이번 보험료 차등화 정책까지. 애꿎은 소비자들만 두 번이나 등이 터지게 됐다.

시행을 앞두고 보험사와 통신사간 협의를 통해 보험료가 재산정될 가능성이 남아있다. 소비자들이 납득할만한 결과를 기대해본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