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저물어가는 공모펀드…성과보수제 처방 통할까
상태바
[기자수첩] 저물어가는 공모펀드…성과보수제 처방 통할까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컨슈머타임스 김수정 기자] 2008년 100조원에 육박하던 개인투자자의 주식형 공모펀드 투자금 규모가 7년 만에 반 이상 쪼그라들었다.

금융당국이 공모펀드에 대한 신뢰를 제고하고 가계 펀드투자를 장려하겠다는 취지로 공모펀드 성과보수제 제한을 완화하기로 했다. 조만간 자본시장법 시행령 일부를 개정할 방침이다.

법이 바뀌면 자산가를 위한 대형 공모펀드가 아닌 대중적인 공모펀드도 보수를 운용 성과에 연동해 부과할 수 있게 된다. 고정적으로 붙는 운용보수가 대폭 낮아지는 대신 성과보수가 수익률에 따라 차등적으로 더해진다.

투자 펀드에서 손실이 났는데도 보수를 떼여 속상해한 적 있는 투자자라면 특히 반길 법하다. 현행 제도에선 펀드 수익률이 마이너스라도 투자원금의 일정비율을 보수로 내야 한다.

운용만 잘 하면 전보다 많은 보수를 받을 수 있기에 몇몇 뛰어난 운용사들의 호응도 좋다.

공모펀드 성과 경쟁에 불이 붙으면서 저렴한 상품 중심으로 시장이 재편될 것이란 기대가 나온다.

그러나 지켜보는 모두가 같은 생각을 하고 있는 건 아니다.

투자자 이익을 우선하는 방향성에 대한 공감대는 형성됐지만 일각에선 보수체계 변경이 펀드 신뢰회복과 시장 활성화의 근본적인 해법이 될 수 없다고 주장한다. 비용인하 정책은 결국 소모적인 채찍질이 될 공산이 크다는 지적이다.

몇몇 특출한 운용사를 제외한 대다수 운용사에 있어 성과보수제는 현행 제도에 비해 수익을 내기 불리한 체계다. 벌써부터 수익 감소와 출혈경쟁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곳곳에서 나온다.

운용사들이 오로지 '고수익'이라는 목표만 바라보고 돌진하면서 리스크 관리를 소홀히 할 위험도 배제할 수 없다. 높은 수익을 추구할수록 '몰빵 투자' 등과 같은 무리수를 두기 쉬워지기 때문이다.

펀드투자를 활성화한다는 보장도 없다.

꾸준한 펀드보수 인하 정책 때문에 금융회사들이 펀드보다 마진 높은 다른 상품에 주력하는 '풍선효과'가 발생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정부는 개인의 노후자금 마련을 지원하기 위해 2008년부터 공모펀드 비용 인하를 추진해왔다.

'체감식 판매보수제' '판매수수료 차등화제도' '펀드 판매시장 선진화방안(계열사 펀드 판매비중 제한)' 등 제도가 시행됐다.

그 동안 펀드비용은 약 37% 저렴해졌다. 하지만 작년 기준으로 주식형 공모펀드 개인투자금은 반토막이 났다. 랩어카운트와 주가연계증권(ELS) 잔고는 3~4배 급증했다.

비용 정책만으로 펀드시장의 근본적인 체질 개선을 추구하는 데엔 한계가 있다.

투자자들이 공모펀드를 외면하는 이유는 공모펀드가 ELS나 주식투자 등보다 안정적으로 높은 수익을 낸다는 점이 입증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펀드 수익성과 안정성이 강화되면 투자자들은 스스로 펀드를 찾을 것이다.

이를 위해 가장 필요한 건 금융회사들이 건전하게 경쟁할 수 있는 환경이다.

수수료나 보수, 세금 등의 인하혜택을 계좌별로 부여하는 동시에 이 계좌를 관리하는 금융회사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한 전문가의 제언이 인상적이다.

당국의 깊이 있고 창의적인 정책을 기대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