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예·적금 금리 1%대 시대…노련한 소비자 돼야
상태바
[기자수첩] 예·적금 금리 1%대 시대…노련한 소비자 돼야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컨슈머타임스 조선혜 기자] 은행 예∙적금 금리가 바닥으로 떨어지고 있다.

지난달 신한은행은 적립식 예금 상품들의 기본금리를 0.1~0.15%포인트씩 내렸다. 국민은행도 0.15~0.2%포인트씩 인하했다. 하나은행 역시 최고 0.2%포인트 가량 낮췄다. 잔액기준 예금금리는 1.97%로 집계됐다. 2%대 붕괴는 사상 처음이다.

해외 투자은행들은 한국은행이 내년 초 기준금리를 1%대로 추가인하 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한국 경제성장률 둔화, 일본∙유럽의 통화완화 정책 등이 근거다.

저금리 기조가 지속될 것이라는 의견이 팽배하다.

1%대인 물가상승률과 이자의 15.4%를 떼가는 이자소득세 등을 감안하면 예∙적금 상품에 돈을 넣어둘수록 '마이너스'다. '위험기피형' 금융소비자들이 초조함을 느끼기에 충분하다.

그렇다고 주식투자나 펀드, 주가연계증권(ELS) 등 복잡하고 원금 손실의 위험이 있는 상품에 목돈을 넣어둘 엄두는 나지 않는 상황이다.

'불완전판매'에 대한 불안도 한 몫 한다.

금융감독원이 최근 펀드를 판매하는 은행·증권·보험 등 30개 금융회사와 181개 점포를 점검한 결과 불완전판매가 만연한 것으로 드러났다. 인기상품만 강요하거나 위험등급(1∼3등급) 펀드를 소개하면서 '수익률'만 비교하고 투자위험은 설명하지 않았던 것.

원금 손실, 위험성 등에 대해 충분한 설명을 하지 않는 것은 금융사들 사이에 남아있는 분명한 '악습'이다. 그러한 연유로 어음(CP) 불완전판매 동양사건, 높은 이율만을 강조해 문제를 일으킨 저축은행 사태 등이 발생했다는 건 자명한 사실이다.

은행∙증권∙보험사들이 자체적으로 이에 대한 방안을 마련하고 소비자들의 눈높이에 맞춰 금융상품에 대한 충분한 설명을 이행해야 하는 것은 의무이자 책임이다.

이에 대해 금감원 박영준 부원장은 "자발적 개선을 유도하고 '업무관행 정상화 태스크포스(TF)'를 운영해 개선계획을 짜겠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러한 자구책만으로 얼마나 변화될지는 의문이라는 지적이 많다. 정부의 관리∙감독 역할도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불완전판매'에 대한 기준이 명확하지 않은 것도 사실이다.

금리는 바닥을 치고, 불명확한 상품에 가입하느니 차라리 현금을 뽑아다가 집안에 쌓아두는 게 더 나은 것은 아닐까 하는 불안감마저 드는 시대다.

버는 것보다 모으는 게 더 쉽지 않은 돈. 실질가치로는 원금 보장도 어려운 예∙적금에 의존하기엔 애매해진 현실이다.

결국엔 '내 돈'이다.

꼼꼼하게 살피고, 목돈 투자에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해야 한다. 이윤을 추구하는 '기업' 입장에서 모든 것을 깔끔하게 설명해주길 기대하는 것은 어렵다.

금융사들은 노련하게 따지고 현명하게 금융상품에 가입하는 '똑똑한' 소비자를 두려워할지도 모른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