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은행권 CEO 연봉, 일본 최고 3배…순익 10분의 1
상태바
한국 은행권 CEO 연봉, 일본 최고 3배…순익 10분의 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컨슈머타임스 조선혜 기자] 국내 은행 최고경영자(CEO) 연봉이 미국·일본 상위권 은행의 최고 3배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국내 은행들은 미국과 일본에 견줘 규모나 실적 등 모든 측면에서 뒤떨어지는데도 CEO 연봉만은 세계적인 수준이다.

28일 한·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일본 1위 금융그룹인 미쓰비시 UFJ 파이낸셜그룹의 오키하라 다카무네 회장(특별고문)은 지난해 총보수로 기본급, 성과급, 스톡옵션을 모두 합쳐 1억2100만엔을 받았다.

그룹 경영을 사실상 총괄하는 히라노 노부유키 지주 사장 겸 은행장은 사장으로서 2500만엔, 행장으로서 9800만엔 등 1억2500만엔을 받았다.

일본 2위 스미토모 미쓰이 파이낸셜그룹의 오쿠 마사유키 지주 회장, 미야타 고이치 지주 사장 등 그룹 CEO 2명의 연봉은 각각 1억2200만엔과 1억2800만엔이다.

일본 3위 미즈호 파이낸셜그룹을 이끄는 사토 야스히로 지주 사장 겸 은행장의 연봉도 1억1600만엔이다.

일본 1~3위 금융그룹 CEO의 연봉을 지난해 말 원·엔 환율(100엔당 1005원)로 따지면 12억~13억원이다.

국내 금융그룹 회장과 은행장의 연봉은 일본 1~3위 금융그룹 회장·행장보다 훨씬 많다.

김정태 하나금융그룹 회장은 지난해 기본급·상여금으로만 13억4000만원을 받았다. 여기에 성과연동주식 3만9580주(연말 종가 기준 17억4000만원)가 따라붙어 연봉이 30억8000만원이다. 김 회장은 연봉이 많다는 지적에 30%를 자진 반납했다.

신한금융그룹의 한동우 회장은 기본급·상여금 14억원과 성과연동주식 3만40주(14억2000만원)를 더해 28억2000만원, 서진원 신한은행장은 기본급·상여금 13억1000만원에 성과연동주식 3만3400주(15억8000만원)까지 28억9000만원을 받았다.

KB금융그룹은 회장이 중도 교체돼 지난해 연봉을 정확히 산출하기 어렵다. 어윤대·임영록 전 회장의 연봉을 합치면 기본급·상여금 13억5000만원에 성과연동주식 2만760주(8억8000만원)이 붙은 22억3000만원으로 추정된다.

국내 3개 금융그룹의 지난해 자산과 세전 순이익은 하나 2800억달러·12억달러, 신한 2950억달러·25억달러, KB 2770억달러·17억달러다. 기본자본 기준으로 세계 순위는 KB 68위, 신한 69위, 하나 84위다.

일본 3개 금융그룹의 자산과 순이익은 미쓰비시 UFJ 2조4510억달러·147억달러, 스미토모 미쓰이 1조5340억달러·135억달러, 미즈호 1조6700억달러·94억달러다. 세계 순위는 각각 10위, 17위, 21위다.

국내 금융그룹의 자산과 순익 모두 일본 금융그룹의 약 10분의 1 수준에 그쳤다. 경영진 연봉은 오히려 3배 가까이 되는 셈이다.

국내 금융그룹의 CEO 연봉은 세계 최대의 글로벌 금융그룹인 미국 은행들보다도 높은 수준이다.

사업 구조가 비슷한 미국 대형 상업은행 중 웰스파고와 씨티 CEO의 연봉이 각각 793만달러, 772만달러로 국내 은행권의 2배를 넘었을 뿐, 뱅크오브아메리카(BoA·226만달러)는 오히려 더 적었다.

세계 4위 BoA(순익 162억달러), 6위 씨티(197억달러), 8위 웰스파고(323억달러)의 지난해 순이익이 국내 은행보다 10~20배 많다는 것을 감안하면, 국내 금융그룹 CEO의 실제 연봉은 미국보다 높다고 볼 수 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얼마 전에 만난 일본 당국자들이 국내 금융그룹 CEO의 연봉을 전해듣고 깜짝 놀랄 정도"라며 "국내 금융그룹 회장이 책임도 지지 않고 막강한 권한을 누리면서 거액 연봉을 챙기는 것은 분명히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